기고

[기고] 김강윤 소방관의 이야기 27편 '사유(思惟)의 이유'

스타트업엔 2021. 2. 23. 10:52
728x90

◇사유(思惟)의 이유

 

1월의 저물녘에
낡아빠진 경운기 앞에 돗자리를 깔고
우리 동네 김 씨가 절을 하고 계신다.
밭에서 딴 사과 네 알 감 다섯 개
막걸리와 고추 장아찌 한 그릇을 차려놓고
조상님께 무릎 꿇듯 큰절을 하신다.
나도 따라 절을 하고 막걸리를 마신다.
23년을 고쳐 써 온 경운기 한 대
야가 그 긴 세월 열세 마지기 논밭을 다 갈고
그 많은 짐을 싣고 나랑 같이 늙어왔네! 그려
덕분에 자식들 학교 보내고 결혼시키고
고맙네! 먼저 가소! 고생 많이 하셨네
김 씨는 경운기에 막걸리 한 잔을 따라준 뒤
폐차장을 향해서 붉은 노을 속으로 떠나간다.
박노해, <경운기를 보내며> 전문


시를 즐기지는 않지만 아름다운 이 시를 어느 책에서 보았다. 말로만 듣던 박노해 시인의 시인 가보다. 더 많은 그의 시를 읽지는 못했지만, 이 시는 참 좋다. 어릴 적 시골 풍경에 내가 가 있는 듯한 생각이 들기도 하고, 내가 가진 기억 속 경운기가 눈앞에 보이는 듯도 하여 그렇다. 사과며 감이며 즐겨 먹던 옛 추억의 과일이 나오니 더 반갑고, 막걸리와 고추 장아찌 이야기를 들으니 동네 점방 장사로 먹고살던 우리 집 툇마루에 전을 치고 술주정하던 동네 아저씨들 생각도 난다. 그 와중에 농사일 거드느라 삐걱거리는 줄 모르고 끌고 다녔던 시골 경운기 떠나보내는 날 이야기를 눈에 보이듯 써낸 시가 그때 내가 본 경운기인 듯도 하여 한참을 보고 또 봤다.

시를 소개하는 책의 저자가 이 시를 통해 말하고자 한 것은 사유(思惟)에 대해서였다. 그중에서도 사물에 관한 생각을 말한다. 그리고 주변에 놓인 것들의 소중함을 보고자 했다. 뒤이어 나오는 이야기를 소개하자면 이렇다. 술 한잔하러 나선 길에 보이는 늦가을 홍매화 나무를 볼 때가 그렇고, 술 한잔하고 돌아오는 길에 비 내리는 차창 사이로 보이는 가로등이 높다랗게 떠 있는 것을 보고 은하수가 비치는 것 같다고도 한다. 유리창에 묻힌 물방울이 가로등 불에 비추어지니 그것이 은하수처럼 영롱했나 보다. 그렇게 보이는 작은 현상들에 감동하고 자기 인생에 그런 순간들이 많았으면 좋겠다고 한다. 스치듯 무심코 지나치는 작은 것들에 대해 지긋이 바라보며 깊이 생각할 수 있었으면 한다고 한다. 나도 그 마음 같아 책을 더 넘기지 못하고 다시 한번 보고 또 봤다.

 

백번 공감한다. 가는 곳 만나는 사람마다, 보이고 말하는 것마다 모두 먼 세상 이야기들이다. 그렇게 들리는 것이 나뿐인가 하여 고개를 절레절레하며 그 말을 따라가 보려 용써보기도 하지만 이내 그만둔다. 당장 내 모습이 그런 세상에 닿을 만한 이유도 없거니와 내게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것들이 그것이 아닐진대 굳이 그럴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누가 주식으로 엄청 많은 돈을 벌었대!”
 “저기 부동산은 정말 대박이래!”

 

왜 솔깃하지 않겠는가? 그리고 중요한 것이기도 하다. 바라는 마음 한이 없고 부러운 마음도 한가득하다. 이내 나는 당최 뭐 하고 살았나 자조 섞인 생각이 들어 입맛만 다신다. 한두 번이 아니다. 그러다 저 시를 보고 생각이 든다. 열 마지기 넘는 땅덩어리 십수 년 갈면서 거친 손에 이끌려 고쳐지고 만져지며 살아온 경운기가 생각났단 말이다. 하루아침에 누가 수천만 원, 수억을 벌었다는 이야기에 겹쳐져 그렇게 낡은 경운기가 떠올랐다. 나는 어디를 더 닮아가고 있는지 스스로 묻다가 여기도 아니고 저기도 아닌 것 같아 콧바람으로 길게 한숨만 늘어놓는다. 하루하루 고장 나가며 낡아가는 몸뚱어리 이끌며 살고 먹는 일에 길들어진 삶인가 싶어 서글퍼지기도 한다.

 

그래도, 적어도, 내 인생의 목표를 이루어 나가는 데는 그냥 경운기처럼 갈란다. 내가 더 바라보고 사유해야 할 것은 우르르 빠르게 쫓아가는 세상이 아니라 살살 걷다 바라보이는 작은 것들이라 믿는다. 물질적 가치의 소중함을 깎아내리고자 함이 아니다. 먹고 자고 살아가는데 풍족함이라는 것을 더 바라지 않아서도 아니다. 그렇다 하더라도 지금 내가 가진 것과 주변에 낮게 서 있는 작은 것들이 주는 소중함을 잊지 않으려 하는 말이다. 덜그럭거리는 의자에 앉아 이 글을 쓰는 지금, 이 순간조차 나에겐 축복인 것을 단 한 번도 잊은 적이 없기에, 숨 쉬는 기쁨에 걸어가는 걸음걸이의 즐거움조차 하루하루가 나에게 주는 큰 감사함이라는 것을 알기에 그럴 뿐이다.

 

우리는 아이를 위해 빵에 버터를 바르고
이부자리를 펴는 것이 경이로운 일임을 잊어버린다.

 

◇알랭 드 보통

 

사람 살리는 일이라는 거창한 수사(修辭)를 섞지 않더라도 내 업(業)에 대한 자부심 또한 절대 작지 않으니 더 그렇다. 그러고 보니 이쯤 되면 나도 가진 게 많은 사람이라는 생각이 들어 더 가져도 되나 하는 물적 욕구에까지 생각이 미쳐 이쯤 되면 부자 되긴 글렀다 싶기도 하다. 어쨌든 그렇다. 낡은 경운기 한 대 몰아가며 날마다 논 일구듯, 밭 갈듯 살아보자. 걷다가 보이는 길가에 풀잎이 바람에 흔들릴 때면 그것이 내게 오는 귀한 시간임을 알자. 앞으로 내 삶에 더 채워져야 할 것은 더 가지고자 하는 물욕(物慾)이 아니라 한없이 사유할 수 있는 심사(深思)의 욕망이라는 것을 잊지 말자.

글/사진=김강윤 소방관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