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전준우칼럼] '그들은 무엇을 보았나'

스타트업엔 2023. 8. 22. 12:23
728x90

아버지를 죽이고 어머니와 결혼하게 될 것이라는 예언을 피하고자 떠난 길에서 우연히 만난 한 남자를 죽이고, 또 우연히 만난 여자와 결혼을 한 테바이의 왕 오이디푸스, 나중에 그가 죽인 남자가 자신의 아버지였고, 자신의 아내가 예언에 등장하는 자신의 어머니였다는 사실을 알게 된 뒤 자신의 눈을 찔러 장님이 되어버린 오이디푸스 왕의 비극을 다룬 소포클레스 작 <오이디푸스>는 그리스 비극을 처음 접해본 나에게 무척 인상적인 작품이었다. 이후 서양 고전을 공부하는 동안 그리스의 비극이 실타래처럼 조금씩 연결되어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는데, 그때 만난 그리스 비극작품들이 정교한 나무틀처럼 짜임새 있게 이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테바이를 공격한 일곱 장수>는 오이디푸스 왕의 저주와 가문에 내려진 몰락을 이야기하고 있다. 오이디푸스 왕이 장님이 되어 테바이를 떠날 때 그의 딸 안티고네는 오이디푸스를 부축하며 먼 길을 동행하지만, 두 아들이었던 에테오클레스와 폴뤼네이케스 형제는 오이디푸스의 저주에 따라 서로를 죽이는 비극을 맞는다. 

 

에테오클레스와 폴뤼네이케스 형제가 왜 다투었는지, 무슨 연유로 서로를 죽고 죽이는 불행의 소용돌이에 휩싸이게 되었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한 가지 분명한 사실은, 고전기 그리스인들에게 전쟁이란 자연스러운 과정이었으며, 독립과 우월성의 확보를 위한 경쟁심의 표현이었다는 사실이다. 

 

<테바이를 공격한 일곱 장수> 이야기의 시작은 에테오클레스의 전쟁 준비와 여섯 장수들, 그리고 폴뤼네이케스의 공격으로 시작한다. 오이디푸스의 아들 폴뤼네이케스는 에테오클레스에 의해 테바이에서 추방당하는데, 이후 복수를 위해 아르고스의 왕 아드라스토스의 부마가 되어 여섯 장수들과 함께 테바이를 공격하는 인물로 등장한다. 

 

에테오클레스의 의해 추방된 형제, 결국 테바이를 공격하는 폴뤼네이케스의 입장에서 봤을 때 에테오클레스와 테바이는 악랄하고 매정하여 혈육의 정도 쉽게 끊어버리는 국가와 인물을 묘사하고 있는 듯하다. 그런데 이야기의 시작점에서 에테오클레스와 그의 전사들은 상당히 겸손하고 용맹하며 경건한 인물들로 묘사되고 있다. 게다가 특별한 직책이라고 보기 어려운 정찰병조차도 에테오클레스를 향하여 굳은 신뢰와 믿음을 갖고 대하고 있다. 에테오클레스의 지도력과 그를 대하는 백성들의 심리가 잘 드러나는 부분이다. 

시민들이여, 카드모스의 자손들이여, 국가라는 배의 갑판에 앉아 잠이 와도 눈을 감지 않고 키를 잡으며 국사를 돌보는 이는 시의 적절한 말을 해야 하오. - <테바이를 공격한 일곱 장수> 1행 

 

에테오클레스 님, 카드모스 자손들의 가장 탁월하신 왕이시여, 저는 확실한 정보를 가지고 적진에서 오는 길이며, 그곳에서 일어난 일들을 직접 목격했습니다....(중략)... 저는 앞으로도 충실한 주간 정찰병으로서 예의 주시할 것인즉, 그대는 성문 밖에서 일어나는 일들에 관해 확실한 보고를 받음으로써 피해를 입지 않으실 것입니다. - <테바이를 공격한 일곱 장수> 에테오클레스를 향한 정찰병의 보고

 

애국심으로 무장하여 도시를 보호하려는 지도자의 자질을 보여주는 에테오클레스의 모습과 달리, 추방당한 자의 입장이긴 하지만 폴뤼네이케스와 그의 병사들은 개인적인 복수심으로 모국을 정복하려는 욕망에 사로잡힌 인간의 어리석음을 보여준다. 

전쟁의 함성이 온 도시에 울려 퍼지고, 우뚝 솟은 파멸의 그물이 도시를 죄는구나. 남자는 남자를 창으로 맞혀 죽이고, 갓난아이들의 어머니들은 가슴에 안긴 채 죽은 젖먹이들을 위해 울며불며 피눈물을 흘리는구나. 약탈하는 무리들이 한패가 되어 싸돌아다니니, 약탈한 자는 약탈한 자와 어우러지고, 빈 손인 자는 빈 손인 자를 부르네. 동반자를 갖고 싶어서, 같은 몫이나 더 많은 몫의 전리품을 갖고 싶어서. - <테바이를 공격한 일곱 장수> 345-355행

 

극의 구도는 에테오클레스와 테바이가 도덕적으로나 성격적 품위에 있어서 폴뤼네이케스와 여섯 장수들보다 훨씬 우호적이고 우월한 인물이며 국가임을 암시하고 있다. 그런데 전쟁의 결말은 두 형제의 죽음으로 끝이 난다. 복수심에 휩싸여 어머니의 도시를 파괴하려는 자의 옳음도, 애국심과 겸손함을 통해 우월함을 보여준 자의 옳음도 아무런 의미가 없어져 버렸다. 그들은 뒤에 남은 자들에 의해 '제 집의 담을 허문 자(883행, 폴뤼네이케스)'와 '독재의 쓴 맛을 본 자(884행, 에테오클레스)'라는 오명을 얻은 채, 어깨를 나란히 하여 하데스의 정문으로 당당히 걸어 들어갔다. 

 

그리스 시대에 전쟁은 빠질 수 없는 자연스러운 과정이었으며, 독립과 우월성의 확보를 위한 경쟁심의 표현이었다고 앞서 밝힌 바 있다. 백성들에 의해 존경받는 왕으로 등장한 에테오클레스는 사후 '독재의 쓴 맛을 본 자'라는 오명을 남긴 것으로 보아 민주주의를 가장한 파시스트, 즉 참주정치에 대한 열망을 가진 자의 독선적 위선을 표명하고 있다고 보아도 무방할 듯하다. 반면에 폴뤼네이케스는 그런 에테오클레스를 향한 경쟁의식을 가진 자로 권력에 대항하며 도전하는 자의 모습을 반영한다고 볼 수 있겠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두 형제의 죽음은 권력투쟁의 비극적인 결말을 드러내고 있을 뿐만 아니라, 참주정치에 대한 열망으로 인한 내전의 발발 위기를 설명하고 있다고 볼 수도 있겠다. 

 

캄뷔세스 이후 가장 위대한 왕으로 군림하였던 다리우스 1세는 군주정치를 주장하였다. 역사적으로 봤을 때, 그의 말이 옳았다. 제3대 샤한샤로 페르시아를 다스린 다리우스는 세계 최강대국으로 페르시아를 이끌었다. 그러나 전쟁보다 대화, 경쟁보다 평화가 우선시 되는 지금은 기원전 시대에 비해 많은 부분이 다르다. 민주주의가 우선시 되는 이유다. 민주주의는 개인의 독선, 혹은 봉건적 사고방식과 제도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방면에서의 자유를 보장할 수 있을 때 온전한 형태를 갖추기 때문이다. 

글/사진=전준우 작가

스타트업엔 

 

스타트업엔(StartupN)

스타트업엔, 스타트업 전문매체, 스타트업, startup, startupn, 스타트업뉴스, 스타트업 미디어, 스타트업 신문사

www.startupn.kr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