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인적 카리스마로 인한 회사 운영의 실태... 거대 투자금의 무분별 사용
비즈니스 모델의 결함... 위워크의 상황을 케이스 스터디로 분석
2010년 창업한 위워크(WeWork)는 프리랜서, 스타트업, 기업들에게 공유 사무실 공간을 제공하는 비즈니스 모델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위워크는 장기간 부동산 공간을 임대하고, 건물을 개조하고 분할한 후에 단기 임차인들에게 임대하는 것으로 수익을 창출하는 비즈니스 모델을 보유하고 있었다.
2014년에는 위워크의 가치가 10억 달러를 돌파하여 ‘유니콘’ 기업으로서 권위를 높였다. 소프트뱅크 그룹은 위워크에 185억 달러를 투자하며, 2019년 위워크의 가치는 470억 달러를 기록하는 등 급속하게 성장하였다.
![](https://blog.kakaocdn.net/dn/Pkw15/btssbyBI5Dw/jA2hAuOk7TStWKToKouJok/img.jpg)
하지만 2019년 상장을 추진하면서 신뢰성 보증, 경영진 스타일, 창업자의 과도한 비용 부담과 대외 간섭 등 여러 문제점들이 보완되어야 하는 상황이었다. 그 결과, 위워크의 창업자인 아담 누만(Adam Neumann)이 사임하게 되었으며, 상장이 연기되었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사무 공간에 대한 수요가 감소하면서 위워크는 SPAC 합병을 통해 상장하며 투자자들의 신뢰를 회복하려고 노력하였다. 그러나 지난 2년간 주식시장에서의 시가총액은 9억 달러에서 500만 달러 미만까지 90% 이상 떨어지면서 위워크의 위상은 이미 사라졌다.
![](https://blog.kakaocdn.net/dn/bllRAi/btssatVdlVQ/eOAmTeoCStmsf41OAvN39K/img.jpg)
◇ WeWork의 부상 : 2010-2019
프리랜서, 스타트업, 기업을 위한 유연한 공유 오피스 공간을 제공한다는 WeWork의 컨셉은 혁신적이었으며 보다 적응력 있는 업무환경에 대한 증가하는 수요를 충족시켰다. WeWork의 비즈니스 모델은 저금리 시대에 부동산을 장기 임대하고, 리노베이션을 거쳐 단기 고객에게 수익성 있게 임대하는 것이 더 쉬워졌다.
WeWork의 기업 가치는 2014년에 10억 달러를 돌파하여 스타트업 업계에서 선망의 대상인 '유니콘' 지위를 획득했다. 총 185억 달러에 달하는 소프트뱅크 그룹의 대규모 투자는 WeWork의 기업가치를 470억 달러로 끌어올리는 데 기여했으며 임박한 IPO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다.
◇ WeWork의 몰락 : 2019-2023
WeWork가 IPO를 준비하면서 아담 누만(Adam Neumann)의 리더십 스타일, 사치스러운 지출, 회계 관행, 이해 상충에 대한 우려가 강도 높은 조사를 통해 드러났다. 이로 인해 누만은 사임하고 IPO가 연기되었다. 회사를 안정시키기 위해 소프트뱅크 그룹은 50억 달러를 추가로 투자하여 WeWork의 지분을 80% 인수했다. 이 조치로 인해 WeWork의 재무 건전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다.
산딥 마트라니가 CEO로 취임하여 비용 절감과 부채 구조조정을 목표로 삼았다. 하지만 코로나19 팬데믹이 시작되면서 원격 근무로 인해 오피스 공간에 대한 수요가 감소하면서 어려움은 더욱 커졌다. 팬데믹으로 인해 원격 근무 트렌드가 가속화되면서 공유 물리적 공간을 중심으로 한 WeWork의 비즈니스 모델에 빨간불이 켜지기 시작했다. 오피스 공간에 대한 수요 감소는 회사의 재무 상태를 더욱 압박했다.
WeWork는 투자자의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 2021년 SPAC(특수목적충족회사) 합병을 통해 상장했다. 또한 주요 시장과 하이브리드 업무공간을 필요로 하는 대기업 고객에 집중하기 위해 전략을 수정했다. 상장에도 불구하고 WeWork의 시가총액은 90억 달러에서 5억 달러 이하로 급락했다. 회사는 상당한 손실을 공개하면서 재무적 생존 가능성에 대한 우려를 불러일으켰다.
![](https://blog.kakaocdn.net/dn/Cdkvq/btsr9O6lyOp/nR9q5O8HnfQjnalU2l7ev0/img.jpg)
소프트뱅크 그룹의 설립자인 손정의 회장은 "WeWork에 투자한 것은 어리석은 일이었습니다. 제가 틀렸습니다."라고 말했다.
뉴욕타임즈는 WeWork가 미국과 캐나다에만 1,800만 평방피트 이상의 임대 가능한 오피스 공간을 보유하고 있으며, WeWork의 실패가 상업용 부동산 업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말한다. 동시에 뉴욕타임즈는 지속적인 비즈니스 운영에 대한 "상당한 의심"을 보고함으로써 대출 기관이 부채, 주식 발행 또는 자산 매각을 통해 추가 자본을 확보할 수 있는 시간을 벌 수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WeWork의 흥망성쇠는 고유한 비즈니스 모델, 경영진의 결정, 시장 변화, 거시경제 상황 등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경영 문제 및 업무 트렌드 변화와 함께 급격한 확장을 거듭한 결과, 결국 밸류에이션이 하락하고 기업으로서의 생존 여부가 불투명해진 것이다.
위워크의 사례를 다각도로 분석해 보면, 비즈니스 모델의 불완전함, 거대한 목표 설정과 자금 낭비, 신뢰도 하락 등의 문제들이 총체적으로 위워크의 궁극적인 실패에 요인들로 작용된다. 위워크의 실패 사례는 스타트업과 기업들에게 경각심을 줄 수 있는 케이스스터디로 소개되며, 일종의 전략적 가르침으로 다가올 비즈니스 세계에서 현재의 위워크의 경험이 반복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스타트업은 위워크의 전철을 밟지 않기 위해 회사의 비즈니스 모델을 재조정하고 지속 가능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새로운 전략을 모색해야 한다. 비슷한 업종의 경쟁업체와의 협력, 공급과잉 문제의 개선, 사무 공간의 다변화 등 다양한 측면에서의 변화와 개선이 필요해 보인다.
스타트업엔 유인춘 기자
스타트업엔(StartupN)
스타트업엔, 스타트업 전문매체, 스타트업, startup, startupn, 스타트업뉴스, 스타트업 미디어, 스타트업 신문사
www.startupn.kr
'스타트업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대자동차그룹, 혁신 아이디어와 열정 갖춘 사내 유망 스타트업 3개사 조기 분사 (0) | 2023.08.30 |
---|---|
주식회사 다올의 침구류 B2B 플랫폼 '침구친구', 예비창업자들에게 활로가 되다 (1) | 2023.08.28 |
스타트업엔, 동천국제특허사무소와 협약 체결 (0) | 2023.08.18 |
스타트업 투자 부활의 신호탄? 7월 유례없는 성장세 (0) | 2023.08.09 |
"법률 기술(legaltech) 혁명" 법률 관행을 변화시킨 10년 (0) | 2023.08.03 |